티스토리 뷰

반응형

 

 

 

 

 

 

 

 

 

오늘 포스팅에서는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를 최신 자료를 정리하여 다음에서 안내해 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 정리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 정리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

 

 

 

 

 

 

 

 

오늘 정리하여 포스팅한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는 포스팅 작성 시점 기준으로 가장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정리하였습니다. 하지만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는 향후 사정상 변할 수 있으니 현 포스팅은 참고용으로 보시기 바랍니다. 가장 최신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는 법무부 홈페이지를 참고하는 걸 추천합니다.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 자료는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

 

 

Ⅰ. 서론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의 전략적 가치
기업이 보유한 특허권은 단순한 기술 보호 수단을 넘어 매각, 라이선스 아웃(out-licensing)을 통해 추가 수익 창출과 시장 지배력 강화를 동시에 꾀할 수 있는 핵심 자산입니다. 특히 기술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현시점에서, 불필요한 특허 포트폴리오는 비용 부담만 가중시키는 반면, 선별적 매각·라이선스는 연구개발(R&D) 투자 회수와 후속 기술 개발 자금 확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IP 전문 로펌의 자문·중개·계약 실무 지원 서비스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Ⅱ. 특허 매각과 라이선스 계약 개요

구분 특허 매각 (Assignment) 라이선스 계약 (License)
권리 이전 범위 권리 전부 또는 일부를 영구 이전 사용권만 허여, 소유권은 유지
거래 구조 일회성 대금 수령 로열티·기술료 형태로 지속적 수익 발생
계약 목적 비핵심 특허 정리·자금 확보 핵심 기술 협업·시장 확대
리스크 매각 후 추가 수익 불가 수익 예측 어려움, 관리 비용 발생
회계 처리 일시적 자산 감소·현금 증가 지속 수익으로 손익 분산 관리

1.     특허 매각

o   전부·일부 양도: 권리의 전부를 매각하거나 지정 제품·용도에 한해 권리 일부를 양도할 수 있습니다.

o   매각 대금 구조: 일시불·분할 지급·성과 연동 지급(에스크로) 방식 등이 활용됩니다.

o   세무·회계 이슈: 무형자산 대체·감가상각·양도소득세 등 복합적 고려가 필요합니다.

2.     라이선스 계약

o   독점·비독점 옵션: 시장·기간·용도별로 독점적 배타권을 부여하거나 비독점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o   로열티 산정: 매출액 연동 방식, 판매 단가·수량 기준 방식, 최소 로열티(Minimum royalty) 조항 등 다종다양합니다.

o   성과 보증·갱신 조항: 기술 성능 보증, 계약 만료 전 갱신 협상 절차 등을 정교하게 설계해야 합니다.


Ⅲ. 계약 실무 절차 및 단계별 체크포인트

1.     사전 준비(Pre-deal Advisory)

o   IP 인벤토리 검토: 매각·라이선스 후보 특허 목록, 권리 기간 및 갱신 현황 점검.

o   가치평가(Valuation): 시장 전망·기술 성숙도·경쟁 특허 분석을 기반으로 DCF·로열티 스탠더드 기법 적용 .

o   전략적 포지셔닝: 기술 우선순위·R&D 로드맵·마케팅 전략과의 정합성 검토.

2.     라이선시·매수인 발굴(Market Outreach)

o   데이터룸(Data Room) 구축: 비밀유지계약(NDA) 체결 후 특허 명세서·심사보고서·시연 영상 제공.

o   투자자·파트너 미팅: 기술 프레젠테이션(Pitch Deck)·시장분석 보고서 공유.

3.     실사(Due Diligence)

o   권리 실사(Legal Due Diligence): 특허권 귀속·선행기술 검색·분쟁·라이선스 이력 검토.

o   기술 실사(Technical Due Diligence): 모듈·샘플·프로토타입 검사, 성능·안정성 평가.

o   재무 실사: 라이선스 수익·라이선스 비용 예측 모델 검증.

4.     협상(Negotiation)

o   핵심 쟁점 도출: 독점성 여부·기간·로열티율·성과 보증·위약금 등 우선순위 설정.

o   타협안 설계: : 로열티율 상·하한 설정, 성과급(이익분배) 옵션 포함.

5.     계약서 초안 작성 및 검토

o   양도계약서(Assignment Agreement): 권리 귀속 이전 시점·대금 지급 조건·보증조항(Warranty & Indemnity) 등 명시.

o   라이선스 계약서(License Agreement):

§  Grant Clause: 사용권 범위·제한사항

§  Payment Clause: 로열티 산정·보고·지급 방법

§  Term & Termination: 계약 기간·갱신·해지 절차

§  Confidentiality & IP 보호: 비밀유지 의무·2차 권리 보호

§  Dispute Resolution: 중재 조항·준거법·관할 법원

6.     계약 체결 및 이행

o   공증·등기: 매각은 특허등록청에 권리이전 등기, 라이선스는 필요시 계약 공증 권장.

o   관리 체계 수립: 로열티 보고 시스템, 기술 성능 검증 프로토콜.

7.     사후관리(Post-deal Management)

o   이행 점검: 분기별 로열티 보고서 검토, 기술공급·업데이트 여부 확인.

o   분쟁 예방 관리: 침해 모니터링·경고장(Cease and Desist) 발송 절차 마련.

o   계약 갱신 협상: 만료 6개월 전부터 갱신 조건 재협의.


Ⅳ. 주요 계약 조항별 실무 검토 포인트

조항 핵심 검토 포인트
Grant of Rights 사용 목적·제품 범위·지역 제한의 구체성
Royalty & Payment 정산 주기·감사권(Audit right) 및 지연 이자
Warranty & Indemnity 권리 보증 범위·책임 한도·클레임 절차
Confidentiality 비밀정보 정의·예외 조항·기간
Term & Termination 자동 갱신 여부·해지 통보 기한
Governing Law & Dispute 준거법(: 대한민국법·뉴욕법중재기관 지명
Compliance & Ethics 반부패·수출규제 준수 조항 포함

Ⅴ. 국내 주요 IP 로펌 서비스 비교

로펌명 특허 매각·라이선스 자문 기술·시장 가치평가 글로벌 네트워크 계약 문서 표준 템플릿 중재·소송 대응
김앤장 법률사무소 전문 IP팀 보유 자체 평가모델 제휴 변호사 활용 풍부한 샘플 경험 다수
법무법인 태평양 ○ R&D 연계 자문 외부 전문가 연계 해외 사무소 연계 기본 템플릿 제공 중재·소송 전문
법무법인 세종 기술 심층 실사 별도 의뢰 방식 주요 국가 제휴 ◎ Nondisclosure 강점 일부 경험
리앤코 중소기업 특화 산업별 특화평가 비정기 협업 자체 문서 라이브러리 대응 가능
법무법인 율촌 글로벌 PCT 전략 특허 분석툴 보유 자체 해외법무팀 표준 템플릿 소송·중재 특화

·        : 강점, : 보통, : 제한적 제공

·        주요 서비스 품질·전문 분야는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수시 업데이트 필요


Ⅵ. 로펌 선택 시 고려사항 및 팁

1.     전문성·경험

o   유사 기술 분야 매각·라이선스 실적 확인

o   글로벌 기술 거래 경험 여부

2.     서비스 통합성

o   가치평가·실사·계약·분쟁 해결까지 원스톱(One-stop) 제공 여부

3.     비용 구조 투명성

o   고정 수수료 vs. 성공 보수 비율 비교

o   추가 자문·서류 비용, 해외 협업 비용 별도 과금 여부

4.     커뮤니케이션

o   기술 배경이 없는 임원·비즈니스 담당자도 이해할 수 있는 자문 보고서 제공

o   실시간 진행 상황 공유 시스템

5.     후속 지원

o   라이선스 이행 관리·분쟁 대응·갱신 협상까지 사후관리 체계


Ⅶ. 결론전략적 거래와 리스크 관리의 균형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은 단순 권리 이전을 넘어, 기업의 기술 전략재무 구조를 동시에 좌우하는 중요한 경영활동입니다. 성공적인 거래를 위해서는 사전 가치평가, 철저한 실사, 정교한 계약 설계, 사후 이행 관리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할 전문 IP 로펌의 종합 서비스 선택이 필수적입니다. 각 로펌의 강점·약점을 비교·검토하여 자사의 기술업종·거래 목적에 최적화된 파트너를 선정하고, 최소의 리스크로 최대의 가치를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 관련 FAQ

 

1. IP 로펌을 선택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요?
IP
로펌을 선정할 때는 단순히브랜딩이나 규모만 보아서는 안 됩니다. 우선 기술 분야 전문성이 필수적입니다. 반도체·바이오·소프트웨어 등 각기 다른 산업별로 특허 쟁점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서 다수의 매각·라이선스 실적과 내부 노하우를 축적한 로펌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예컨대 반도체 공정 기술의 경우 칩 설계·노광·패키징 단계별로 특허 침해 위험이 달라지므로, 이 분야 전문 변호사 팀이 있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둘째, 계약 실무 프로세스의 일관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NDA 체결부터 가치평가, 실사, 계약서 초안 작성·협상·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One-Stop으로 제공하는지, 혹은 각 단계를 별도 자문사·컨설팅 업체에 의존해야 하는지 파악해야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셋째, 글로벌 네트워크 여부도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 해외 매수자·라이선시와의 직접 협상이 필요한 경우, 현지 IP 로펌과 협업 체계가 구축돼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유럽·중국 시장을 목표로 한다면 각 지역 파트너 로펌과 MOU를 맺고 정기 교류·협업 매뉴얼을 보유한 곳을 선택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수임료 체계의 투명성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고정 수수료와 성공 보수 비율, 추가 실사 비용·공증·등기 대행료 등 부대비용을 명확히 제시하는 로펌을 골라야 예기치 않은 비용 부담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특허 매각(Assignment)과 라이선스 계약(License)의 핵심 차이는 무엇인가요?
특허 매각은소유권 전체를 이전하는 거래로, 일시적인 매각 대금 수령이 목적입니다. 권리의 완전 이전이므로 매수인이 이후 발생하는 모든 경제적 이익·분쟁 책임까지 짊어지지만, 매도인은 이후 해당 특허로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매각 시점의 가치 평가가 매우 중요하며, 보증조항을 통해 과거의 침해 분쟁 이력·유효성 문제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반면 라이선스 계약은소유권은 유지하되 사용권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 로열티·기술료 형태로 지속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매출 예측의 불확실성, 계약 이행 관리 비용, 위반 시 법적 대응 리스크가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독점 라이선스일 경우, 라이선시의 성과 부진 시 매도인의 다른 사업 기회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성과 보증·계약 해지 조항을 치밀하게 설계해야 합니다.


3. 매각·라이선스 계약 전 실사(Due Diligence)에서 반드시 점검해야 할 체크포인트는 무엇인가요?
실사는 크게 법무·기술·재무 세 분야로 나뉩니다.

·        법무 실사: 특허권 귀속(직원 발명·기술 도입 경위), 선행기술 검색, 유효성·분쟁 이력, 기존 라이선스·실시권 계약 관계를 면밀히 검토합니다. 특히 직원 발명 보상 규정 위반 사례나 선협상권(Pre-emptive right) 조항이 숨어 있을 수 있으므로, 정관·내부 규정·주주 간 합의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기술 실사: 특허 명세서와 실제 구현물이 일치하는지, 시제품·프로토타입의 성능·안정성을 테스트하고, 실시 예시(Embodiment)가 시장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검증합니다.

·        재무 실사: 라이선스 수익 흐름, 매각 대금 지급 조건(일시불·분할·성과 연동), 잔여 로열티·유지보수료 규모, 그리고 계약 이행 지연 시 지연이자·손해 배상 규모를 시뮬레이션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Data Room 형태로 가공해, 매수자·라이선시가 NDA 체결 후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실사 속도와 완성도가 높아집니다.


4. 계약서 주요 조항별 실무 검토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        Grant Clause (권리 부여 범위): 제품, 용도, 사용자, 지역, 기간을 구체적으로 정의합니다. 예컨대의료기기용 센서인지, “산업용 자동화 로봇인지 명확히 구분해야 잔여 침해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Payment Clause (지급 조건): 로열티 산정 방식(매출액 × %, 단가당 %, Minimum royalty), 보고 주기, Audit right(감사권), 지연이자율을 상세히 규정해야 불필요한 분쟁을 막습니다.

·        Warranty & Indemnity (보증 및 배상): 특허 유효성, 침해·분쟁 이력, 권리 귀속 상태에 대한 보증 범위와 배상 한도를 설정하고, 클레임 절차(사전 통지 기간·협의 기간)를 명시합니다.

·        Confidentiality (비밀유지): 공개 대상 정보, 비밀유지 기간, 예외 조항(법적 요청 시 대응 절차) 등을 구체화합니다.

·        Term & Termination (계약 기간 및 해지): 자동 갱신 여부, 해지 통보 기한, 위반 시 Cure period(시정 기간) Liquidated damages(손해배상액) 조항을 정교하게 설계해야 합니다.

·        Dispute Resolution (분쟁 해결): 중재 기관(ICC·KCAB ), 준거법(대한민국법·뉴욕법), 중재 절차, 긴급 구제(Preliminary injunction) 조항을 포함해 국제 거래 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5. 로열티 산정 방식에는 어떤 유형이 있으며, 협상 시 유리한 전략은 무엇인가요?
로열티 산정 방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매출액 연동(Royalty on Net Sales): 매출액 × 일정 비율. 가장 일반적이지만, 매출 조정 항목(Net Sales 정의)을 놓고 분쟁이 잦으므로 할인·반품·관세·VAT 제외 범위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2.     단가당 고정액(Per Unit Royalty): 판매 단위당 일정 금액. 제품 단가 변동성이 큰 산업에서는 조정 메커니즘을 포함해 Minimum–Maximum floor/ceiling을 설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3.     성과 연동(Incentive-based): 매출 목표 도달 시 성과급 지급. 라이선시의 시장 확대 동기를 제고할 수 있지만, 목표 미달 시 로열티 수익이 부진할 위험이 있으므로 페널티 및 재협상 조항을 포함해야 합니다.

협상 전략으로는 베스트 프랙티스(benchmarking)를 활용해 유사 기술·유사 거래의 로열티율 범위를 제시하고, 초반에는 Minimum royalty를 높게 잡아 수익 안정성을 확보한 뒤, 성과급 구조로 시장 침투를 유도하는 구조가 좋습니다.


6. NDA(비밀유지계약)는 왜 중요한가요?
NDA
는 실사 초기 단계에서 Data Room 접근을 위한 문턱이자, 비밀정보 보호를 위한 법적 안전장치입니다. 특히 영업비밀(영업 공정·노하우·소스코드)이 포함된 특허 포트폴리오를 다룰 때, NDA가 없으면 무단 유출·모방·불법 복제 위험이 높아집니다.

실무상 NDA에는 다음 사항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        비밀정보 정의(Scope of Confidential Information): 특허 명세서 외에도 회의록, 기술 프레젠테이션, 내부 비용 정보까지 열거

·        사용 목적 제한(Purpose Limitation): “본 거래 협상 및 실사 목적으로만 사용하도록 명시

·        보호 의무 기간(Duration): 최소 3년 이상 권고, 만료 이후에도 반환·폐기 의무 존속

·        예외 조항(Exceptions): 법적 요청 시 절차, 3자 공개 금지, 내부 담당자 최소화 규정

NDA 체결 후에도 내부 접근 권한 관리접속 로그 감사가 병행돼야 실사 단계에서 정보 유출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7. 해외 라이선스 계약에서 특히 주의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글로벌 계약은 언어·법제·문화 차이로 인한 리스크가 큽니다.

·        준거법·관할 중재: “대한민국법·서울중재센터뿐 아니라, “뉴욕법·ICC 중재등 중립적이고 실행력이 높은 옵션을 고려해야 합니다.

·        환율 변동 리스크: 로열티 지급 화폐(USD, EUR )와 환율 조정 메커니즘을 조항에 반영해야 대규모 환차손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수출제한·제재 준수: 미국 ITAR, EU 수출통제 규정 등 기술 이전 제한 여부를 검토하지 않으면 법령 위반으로 형사·행정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현지화(Localization): 계약서·NDA 초안을 현지 변호사와 교차검토해, 용어 해석 차이로 인한 분쟁을 사전에 방지해야 합니다.


8. 계약 이행 관리(Post-deal Management)와 사후 감사(Audit) 절차는 어떻게 운영해야 하나요?
계약 체결 후에도 이행 관리 체계를 갖추지 않으면, 라이선시가 로열티 보고를 누락하거나 기술 사용을 남용할 수 있습니다.

·        분기별 보고서: 매출·판매량 보고서와 로열티 지급내역을 분기별로 제출·검증받도록 합니다.

·        현장 감사권(Audit Right): 계약서에 감사 주기·절차(사전 통지 기간·자료 요청 범위)를 명시해, 매도인이 직접 또는 제3자 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규정합니다.

·        기술 성능 점검: 라이선스 기술 성능이 보증 수준을 유지하는지, 업데이트나 유지보수가 필요한지를 정기 점검하는 기술 워크숍을 권장합니다.

·        위반 조치: 보고 누락·불법 사용 발견 시 Cure period(시정 기간)Liquidated damages(예정 손해배상액)를 적용해 신속하게 시정·배상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합니다.


9. 분쟁 발생 시 ADR(중재·조정)과 소송 대응 전략은 어떻게 달라지나요?

·        중재(Arbitration): 국제 거래에서 선호되며, 비공개 절차·집행력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ICC·LCIA·KCAB 중재규칙을 선택할 때는 중재인 선정 방식, 증거 개시(Discovery) 수준, 임시구제(Preliminary Injunction) 가능 여부를 검토해야 합니다.

·        조정(Mediation): 분쟁 초기에 비용·시간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Win-Win 협상 테이블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기 파트너십이 필요한 라이선스 관계에서 조정 절차를 거치면 관계 회복이 가능합니다.

·        소송(Litigation): 국내·외 법원 소송은 절차가 공개되고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형식적 증거개시가 가능해 침해 증명에 강점을 가집니다. 다만 비용·시간·평판 리스크가 크므로, 중재 합의 조항이 없는 경우에 최후 수단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10. IP 로펌 서비스 비용 구조와 절약 팁은 무엇인가요?
IP
로펌의 비용 구조는 크게 고정 수수료(Fixed Fee), 시간당 청구(Time-based Fee), 성공 보수(Success Fee)로 구분됩니다.

·        고정 수수료: 라이선스 계약서 초안 작성, NDA 체결 지원 등 표준화된 업무에 적합하며 예측 가능한 비용 관리가 가능합니다.

·        시간당 청구: 복잡·비표준 업무, 실사 보조·협상 참여 등 시간 소요가 불확실한 업무에 주로 적용되며, 비용 예측이 어려우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성공 보수: 매각 대금·로열티 총액의 일정 비율로 책정하며, 로펌과 이해관계를 일치시켜 동기 부여가 크지만, 매출 규모 예측이 불확실할 경우 비용 과다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용 절약 팁

1.     업무 범위 표준화: 고정 수수료 범위와 초과 업무를 명확히 규정해, 추가 비용 발생 시 사전 협의하도록 합니다.

2.     사전 내부검토 강화: 계약 초안·실사 자료를 사내 법무·기술팀이 미리 검토해, 로펌 자문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3.     패키지 요금제 활용: NDA 체결, 실사 지원, 계약서 검토 등 다단계 서비스를 묶은 패키지 상품을 제공하는 로펌을 활용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플랫폼 비교: 중소기업·스타트업 전용 IP 법률 플랫폼을 병행 검토해, 대형 로펌 대비 저렴한 비용에 기본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정리하여 알려드린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 관련 정보는 작성 시점 기준의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하였음을 다시 한번 알려드립니다. 하지만 이후 사정에 따려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는 변동 할 수 있음을 인지해 주시고 해당 포스팅은 추가로 업데이트는 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해당 포스팅은 포스팅 작성일 기준의 자료임을 밝히며 반드시 개인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가장 최신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 자료는 법무부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특허 매각·라이선스 계약 실무 : IP 로펌 서비스 비교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하여 알려드렸습니다.

 

반응형